\BMB CUSTOMER CENTER
바이오스 진입 후 FAN 컨트롤 진입 [F5]
1_Boot ->CSM Support-> Disabled ->Enabled -> F10 엔터 ,저장
2_Boot ->Network-> UEFI
3_Boot -> Boot Option #1 -> UEFI Network
4_Chipset -> System Agent (SA) Configuration -> VT-d -> Enabled -> Disabled
5_Chipset -> Onboard Device-> LAN1 Option ROM -> Disabled ->Enabled
6_Advanced-> CPU Configuration -> Overclocking Lock -> Disabled ->Enabled
7_Advanced->Trusted Computing ->Security Device Support ->Enabled ->Disabled
8_ Advanced-> ACPI Settings -> PME Wake up from S5 -> Disabled ->Enabled
9_Advanced-> HWMornitor -> A.I TP Control ->Enabled ->Disabled
10_Advanced->Network Stack Configuration -> >Network Stack ->Enabled ->IPv4 PXE Support ->Enabled
11_FAN 컨트롤 진입 F5 Full on
(1) 게임 실행이 안 되는 경우 아래 사항을 참고합니다.
① 게임사에서 패치 및 점검 중인지 확인
- 주로 아래의 게임사 패치 시 문제들이 많이 발생합니다.
- 게임사 공식홈페이지, 인벤, 까페 등에서 확인합니다.
- 매주 수요일 점검 게임사 : 리그오브레전드, 배틀그라운드, NC SOFT
- 매주 목요일 정기점검 게임사 : NEXON
② 국내 게임사가 아닌 Steam(스팀), Origin(오리진)의 경우 해당 게임 타이틀을 구매해야 설치나 실행이 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. 노하드 서버팀에서 구매해 놓은 타이틀도 있지만 수많은 모든 게임의 타이틀을 구매 할 수는 없습니다. 따라서 노하드 서버팀에서 구비를 하고 있는지 확인을 한 후 구비되어 있지 않다면 플레이를 하는 손님분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확보하여 알려 주시면 설치를 진행하고 손님의 아이디와 비번은 삭제 한 후 서버팀에서 보관하지 않습니다.
③ 블리자드(디아블로3, 오버워치, 스타 등)는 정기점검이 없으며, 패치나 점검이 있을 경우 해당 게임사의 사이트에서 확인을 해야합니다.
④ 하드웨어의 문제로도 게임 실행이 안 될 수 있습니다. 그래픽카드의 이상이나 CPU의 이상일 경우 게임 실행에 문제가 발생합니다.
- 피씨가 정상 부팅되어 인터넷익스프롤러 등 가벼운 프로그램 등은 실행이 되지만 게임 로딩이나 접속 시 아무런 에러메세지 없이 팅기는 경우
- 게임을 실행하여 사용 중 에러메세지 없이 갑자기 멈추거나 재부팅 또는 다운 되는 경우
-> 거의 그래픽카드의 칩셋 에러로 인한 증상
-> 에러메세지가 나올 경우 문제 해결의 단서가 되기 때문에 가능 하면 핸드폰으로 사진을 찍어 콜센터로 통보해 주시면 많은 도움이 됩니다.
(2) 게임 렉이 발생하는 경우
① 게임사 서버의 문제인지 먼저 확인
- 게임사 공식홈페이지, 인벤, 까페 등에서 확인합니다. 공식홈페이지는 인벤이나 카페보다 공지가 늦게 올라옵니다. 네이버나 다음에서 [ㅇㅇㅇ게임 인벤]이라고 검색 하면 해당 게임의 인벤사이트가 나옵니다. 해당 인벤사이트에서 자유게시판 등을 검색해 보시면 유저들이 실시간으로 정보를 올려 보다 빠르게 정보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.
② PC의 불량일 경우
- 위의 하드웨어 불량일 경우와 같은 방법으로 확인합니다.
③ 해당 게임의 내부 옵션 설정에 따라서도 렉이 발생 할 수 있습니다.
- 예를 들어 우리 매장의 그래픽카드가 RTX2060인데 옵션을 잘 못 설정하여 RTX2080급의 설정으로 되어있을 경우 렉이 발생 할 수 있습니다. 노하드시스템이기 때문에 점주님들께서는 거의 변경 할 일이 없겠지만 손님들이 그래픽카드를 확인도 안하고 옵션을 상향 조정하여 플레이하면서 렉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 참고 부탁드립니다.
④ 매장 내에 해외게임 다운로드 및 설치 중인 손님 확인을 해야 합니다.
- 예를 들어 친구들끼리 몇 명이 같은 게임을 하기 위해 해외 게임 사이트에 접속하여 동시에 많은 트래픽을 유발하며 다운로드 및 설치를 진행 할 경우, 매장 전체에 렉이 발생 할 수 있습니다. 이유는 간단합니다. 우리 동네 차량 대수가 10,000대인데 차선이 1차선 뿐이라면 당연히 내 집 앞도 차가 막힐 것입니다. 이와 같은 이유입니다.
⑤ 체크포인트
- 특정 자리만 렉이 발생 할 경우 하드웨어 문제가 많으며, 전좌석에 렉이 발생 할 경우 게임사나 노하드서버의 문제일 경우가 많습니다.
(3) 긴급 패치 및 대규모 패치가 예정 되어 있는 경우 서버팀에서 별도 SMS로 공지
(4) 게임사 공식 홈페이지 안내
롤 공식 홈페이지 - https://kr.leagueoflegends.com
NC SOFT 공식 홈페이지 - https://kr.plaync.com
넥슨 공식 홈페이지 - https://www.nexon.com/Home/Game
카카오 배틀그라운드 공식 홈페이지 - http://pubg.game.daum.net/pubg/index.daum
스팀 배틀그라운드 커뮤니티 사이트 - https://dak.gg
블리자드 공식 홈페이지 - https://pcbang.blizzard.com/ko
* 고객문의 바로가기 http://bmbs.co.kr/support/cs.html?q=as
* 서버팀 문의하기
1661-2873
기가바이트 B360M DS3H 바이오스 설정
1. 바이오스 진입 (진입 방법 : PC 부팅 시 키보드 Del(Delete)키 클릭)
2. 상단메뉴 Bios > Secure Boot 진입
3.Secure Boot Enable > Disabled
4. 그림과 같이 수정
- CSM Support > Enabled
- LAN PXE Boot Option ROM > Enabled
- Srorage Boot Option Control > Lagacy Other PCI device > Lagacy
5. 키보드 F10 > Yes > 재부팅 되면 다시 바이오스 진입
6. 상단메뉴 Bios > Boot Option #1~2를 아래와 같이 변경 > 키보드 F10 > Yes
ASROCK 바이오스 변경
바이오스 진입은 키보드 화살표 위에 DELETE(DEL) 키를 눌러서 진입 합니다.
1. 초기 바이오스 화면에서 오른쪽 상단 Advanced Mode (F6) 진입
2. 원격부팅 설정 - 상단메뉴 Advanced > ACPI Configuration > PCIE Devices Power ON > Enabled 로 변경
3. LAN 부팅 설정 - 상단메뉴 Boot > Boot From Onboard LAN > Enabled 로 변경
4. 저장 - 키보드 F10 > YES
MSI 바이오스 변경 방법
바이오스 진입은 키보드 화살표 위에 DELETE(DEL) 키를 눌러서 진입 합니다.
1. LAN 부팅 설정 - 바이오스 진입 후 Settings > Advanced > Integrated Peripherals 메뉴 진입 후 LAN Option ROM > Enabled 로 변경
2. 원격부팅 설정 - Settings > Advanced > Wake Up Event Setup > Resume By PCI-E Device 메뉴를 Enabled 로 변경
3. 저장 - 키보드 F10 > YES
ASUS 바이오스 변경
바이오스 진입은 키보드 화살표 위에 DELETE(DEL) 키를 눌러서 진입 합니다.
1. 초기 바이오스 화면에서 오른쪽 아래 Advanced Mode (F7) 진입
2. LAN부팅설정 - 상단메뉴 Advanced > Onboard Devices Configuration > Intel(Realtek) LAN PXE Option ROM > Enabled 로 변경
3. CSM 활성화 - 상단메뉴 BOOT > CSM > Launch CSM > Enabled
4. 원격부팅 설정 - 상단메뉴 Advanced > APM(Apm configuration) >Power On By Pci-e > Enabled
5. 저장 - 키보드 F10 > YES
GIGABYTE 바이오스 변경
바이오스 진입은 키보드 화살표 위에 DELETE(DEL) 키를 눌러서 진입 합니다.
1. LAN 부팅설정 - 상단메뉴 BIOS > LAN PXE Boot Option ROM > Enabled 로 변경
2. CSM 설정 - 상단메뉴 BIOS > CSM Support > Enabled 로 변경
3. 저장 - 키보드 F10 > YES 저장 후 재부팅
(1) 매장에 운영 중인 서버 및 허브는 365일 24시간 구동하는 장비입니다. 기본적으로 성능 및 안정성이 보증된 제품으로 구성 되어 있지만, 기계인 만큼 적어도 2~3개월에 한번은 재부팅 하여 안정화 시켜 줄 것을 권장 합니다. (약 10분 이상 다운 상태 유지)
(2) 재부팅을 원할 때에는 일정을 잡아 콜센터에 통보해 주시면 함께 재부팅 작업을 진행하여 드립니다.
- 특정(공격 및 과다 트래픽)상황에서는 즉시 혹은 익일에 재부팅을 권장합니다. 콜센터에서 진행하는 원격지원은 인터넷이 되어야만 가능합니다. 하지만 인터넷이 차단 되어 서비스가 불가능 할 경우가 발생합니다. 이런 상황에서는 즉시 모든 장비를 재부팅하여 정상화를 시키는 것이 가장 효율적입니다.
- 위급 상황에서의 서버 및 허브 재부팅 소요시간은 약 5-10분이며, PC 이용이 제한되므로 손님들에게 공지 후 재부팅을 진행 하는 것이 좋습니다.
(1) DDOS 란?
-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의 약자
- 서버가 처리할 수 있는 용량을 초과하는 정보를 한꺼번에 보내 과부하로 서버 및 허브를 다운시키는 공격 방식
- PC방에 운영 중 가장 큰 문제점으로 특정 프로그램, 방화벽, 방어 장비로도 100% 방어가 불가능 함
- 디도스 발생 시 증상은 아래와 같습니다.
❶ 전 좌석 사용 중 멈춤 및 블루스크린 발생
❷ 인터넷 속도 저하 및 끊김 현상 발생
(2) DDOS 공격이 의심된다면 아래 사항을 참고해 주세요.
- 카운터 인터넷 접속 여부 확인
- 카운터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다면? 케어센터에 연락해서 서버에 이상 유무 판단
- 카운터도 인터넷 접속이 안된다면? 통신사에 연락해서 매장 및 근처에 디도스 여부 확인, 통신사 회선은 일정 지역이 함께 사용함으로, 근처에 같은 회선을 사용 중인 매장에서 공격 받을 경우 함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.
- 디도스는 특정 IP 나 클라이언트를 통해서 들어옴으로, 공격이 확인되면 해당 IP 및 손님PC를 하루 이상 사용 금지합니다.
(3) 누킹, 트래픽 과부하 등
- 누킹이란? 의도적으로 상대방(게임플레이 중)의 회선에 과도한 트래픽을 보내 플레이를 방해하는 행위
- DDOS 뿐만 아니라 누킹, 웜웨어, 바이러스 등 매장에 악영향을 끼치는 많은 공격들이 있습니다. 이는 인터넷이라는 환경을 사용 하는 한 완벽한 방어를 할 수 없는 어쩔수 없는 부분입니다. 게임 및 각종 인터넷사이트 등을 통하여 쉽게 접근이 가능하며, USB에 담긴 프로그램 하나로도 매장에 치명적인 공격을 할 수가 있습니다.
- 노하드 서버 프로그램이나 통신사 프로그램에는 기본적인 방어 프로그램들이 항상 작동 중이며,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노력하지만 완벽한 방어는 불가능 한 것이 현실입니다.
- 위와 같은 바이러스의 공격 시 아래의 증상이 발생합니다.
❶ 새로 켜지는 PC들 부팅 불가
❷ 특정 자리 및 대역에 렉 및 끊어짐 현상
- 이러한 증상 발생 시 콜센터에 연락하시면 증상 처리 및 완화가 가능합니다. 콜센터가 통화 중이거나 연락이 안된다면 각 서버나 매장 카운터부에 부착되어 있는 노하드 서버팀 스티커를 확인하고 핸드폰으로 전화 또는 문자, 카톡을 보내 주시면 빠른 처리가 가능합니다.
(1) 프린터 케이블은 반드시 [USB 2.0]에 연결 (색으로 구분)
(2) 프린터 설치 후 콜센터에 연락 하여 원격 설치 지원 요청
(3) 윈도우 설정 방법
1. 프린트와 연결된 PC에서 [제어판]->[네트워크 및 공유센터]로 진입
- 제어판 진입 방법
-> [Win] 또는 [윈도우마크 모양]키를 누른 상태에서 [R]키를 눌러 실행창 활성화
-> [Control] 입력
-> [제어판] 진입 (윈도우 7, 10 방법 동일)
2. [고급 공유 설정 변경] 진입 후 아래 그림과 같이 변경
3. [제어판]->[장치 및 프린터] 진입 후 공유프린터 설정
- 해당 제품 모델 선택 후 마우스 오른쪽으로 아이콘 클릭
5. 실행 창 활성화 - [Win] 또는 [윈도우마크 모양]키를 누른 상태에서 [R]키를 눌러 실행창이 나오면 아래 순서데로 입력
-> services.msc 입력 후 엔터
-> [서비스]창이 뜨면 [Print Spooler]항목을 찾아 더블 클릭
-> [Print Spooler]창이 뜨면 [시작 유형]을 자동으로 변경 후 바로 아래 [서비스 상태]를 시작으로 변경
(4) 프린트 설정에 대한 참고자료는 아래 링크에서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.